|
강정통 (GANGJEONG SERIES) |
Established Series PCS, JYH, UKT 10 Apr., 1977 |
강정통은 미국 Soil Taxonomy 분류에 의하면 fine, mixed, thermic family of Mollic Paleudalfs에 속하며, FAO/WRB 분류에 의하면 Cutanic Luvisols(Epidystric Profondic Chromic)에 속함. 표토는 암갈색의 미사질양토이며, 심토1(Bt1) 적갈색의 미사질식양토임. 심토2(Bt2)sms 암황갈색의 미사질식양토이며, 황갈색의 반문이 있음. 심토3(Bt3)은 암항갈색의 미사질식양토이며 회갈색의 반문이 있음. 심토4(BCt)는 진갈색과 갈색의 미사질식양토임. 이 토양은 해안용암류평탄지에서 발달함
강정통 대표토양: 강정 미사질양토_마늘(토색은 반습상태)
경사: 2-7%
해발: 8m
토양수분상: 습윤상(udic)
토양온도상: 난대상(thermic)
모재: 화산쇄설물
진단특성: Soil Taxonomy는 0-30cm 움브릭(umbric), 30-180cm 아질릭(argillic)층, WRB는 0-30cm umbric층, 30-180cm agric층을 보유함
단면기술: 송관철, 정석재, 노대철(2007. 9. 6)
|
|
|
강정통의 토양단면 및 분포지형 |
표토 – 0-30cm. 암갈색(10YR 3/3)의 미사질양토; 구조는 중용이며 작거나 보통인 입상; 반습시 푸슬푸슬하며, 점착성과 가소성이 있음; 뿌리는 작고 있음; 공극은 작고 적음; 석영립은 약간 둥글고 적음; 경계는 평면상으로 확연함
심토1(Bt1) - 30-63cm. 적갈색(5YR 4/4)의 미사질식양토; 구조는 중용이며 큰 각주상; 반습시 약간 단단하며, 점착성과 가소성이 큼; 점토피막은 많고 얇음; 뿌리는 매우 작고 적음; 공극은 작고 적음; 석영립은 약간 둥글고 적음; 경계는 파상으로 명료함
심토2(Bt2) - 63-85cm. 암황갈색(10YR 4/3)의 미사질식양토; 반문은 불선명한 암황갈색(10YR 3/4)이며 보통이고 있음; 적색의 철반문이 있음; 구조는 중용이며 보통의 판상; 반습시 단단하며, 점착성과 가소성이 큼; 점토피막은 많고 뚜꺼움; 뿌리는 매우 작고 적음; 공극은 작고 적음; 망간필름은 많고 얇음; 석영립은 위와 같음; 현무암유래 심하게 풍화된 자갈이 5%: 경계는 파상으로 명료함
심토3(Bt3) - 85-105cm. 암황갈색(10YR 4/4)의 미사질식양토; 반문은 불선명한 회갈색(10YR 5/2)이고 보통이며 있음; 망간반문은 크고 있으며, 철반문은 보통이고 있음; 구조는 강하며 보통의 각괴상; 반습시 매우 단단하며, 점착성과 가소성이 있음; 점토피막은 많고 두꺼움; 뿌리는 없음; 석영립과 자갈은 위와 같음; 경계는 파상으로 점변함
심토4(BCt) -105-180cm. 진갈색(7.5YR 4/6), 갈색(10YR 5/3)의 미사질식양토; 반문은 약간 감소함; 반습시 매우 단단하며, 점착성과 가소성이 큼; 점토피막은 위와 같음; 공극은 작고 적음; 현무암 쇄설물이 심하게 풍화된 자갈이 적음
대표토양의 위치: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3리 북쪽 300m지점(126° 10' 31.5'', 33° 16' 59.7'').
특성의 범위: 강정통은 움브릭층과 아질릭층을 보유함. 토층은 150-200cm이며 암반까지의 깊이는 2m이상임. 토양반응은 강산성 내지 약산성임. 염기포화도는 40-80%임. 표토는 암갈색 미사질양토 또는 미사질식양토. 심토는 매우 두꺼움 황갈색, 적갈색 또는 진갈색의 미사질식양토 또는 미사질식토이며 회갈색의 반문이 있음
유사토양과의 차이: 강정통의 유사토양은 동홍, 무릉, 수산통임. 동홍통은 해안용암류평탄지에 위치하며, 분석구 주위에 있음. 배수는 양호임. 무릉통은 Typic 아군이며, 배수는 양호임. 수산통은 Typic 아군이며, 분석구에 분포함
통의 설정: 강정통은 제주도 북서쪽의 경사가 완만한 낮은 용암류평탄지에 분포하며, 화산쇄설물로부터 기인함. 경사범위는 2-7% 이며, 주된 경사는 2%임
유사토양과의 연쇄성: 유사토양연쇄성은 무릉, 영락통이며, 이 토양은 높은 해발의 용암류평탄지에 위치함. 대정, 용수, 해안통은 해발이 낮은 용암류평탄지임
토양배수 및 투수성: 배수는 약간양호이며, 투수성은 매우 느리며, 유거는 느림
토지이용 및 식생: 주로 밭으로 이용됨
분포면적: 강정통의 분포면적은 제주도 북서쪽의 낮은 용암류평탄지에 분포하며 좁은 면적으로 분포함
통의 설정 및 개정: 통의 설정은 제주도 서귀포시(1975), 통의 개정은 제주도 서귀포시(2007)
대표토양 분석치
물리적특성
토층 |
토심 (cm) |
입경(%) |
모래구분 |
용적밀도 (Mg/m3) |
수분장력(kPa) |
|||||||||
모래 |
미사 |
점토 |
토성 |
극조사 |
조사 |
중사 |
세사 |
극세사 |
10 |
33 |
1500 |
|||
표토(A) |
0-30 |
35.2 |
43.6 |
21.2 |
양토 |
1.7 |
5.1 |
7.7 |
14.2 |
6.5 |
1.51 |
|
|
|
심토1(Bt1) |
30-63 |
25.7 |
31.3 |
43.0 |
식토 |
0.6 |
3.0 |
5.7 |
11.0 |
5.4 |
1.37 |
|
|
|
심토2(Bt2)) |
63-85 |
30.3 |
34.1 |
35.6 |
식양토 |
0.6 |
3.2 |
6.6 |
12.7 |
7.3 |
1.23 |
|
|
|
심토3(Bt3) |
85-105 |
9.6 |
54.0 |
35.4 |
미사질식양토 |
0.6 |
1.6 |
1.9 |
2.8 |
2.7 |
1.57 |
|
|
|
심토4(BCt) |
105-180 |
7.1 |
56.8 |
36.1 |
미사질식양토 |
0.6 |
1.3 |
1.3 |
1.8 |
2.1 |
1.61 |
|
|
|
화학적특성
토층 |
토심 (cm) |
pH(1:1) |
유기탄소 (g/kg) |
염기치환용량 (cmol/kg) |
치환성양이온(cmol/kg) |
염기 포화도(%) |
||||
H2O |
KCl |
Ca |
Mg |
K |
Na |
|||||
표토(A) |
0-30 |
5.1 |
3.9 |
9.4 |
15.5 |
3.4 |
1.5 |
0.9 |
0.2 |
38.9 |
심토1(Bt1) |
30-63 |
6.1 |
5.2 |
7.5 |
26.0 |
7.2 |
4.2 |
1.0 |
0.5 |
49.5 |
심토2(Bt2) |
63-85 |
6.3 |
5.4 |
4.1 |
27.74 |
8.7 |
7.3 |
0.2 |
0.6 |
60.5 |
심토3(Bt3) |
85-105 |
6.2 |
5.1 |
1.9 |
21.3 |
5.0 |
10.1 |
0.2 |
0.4 |
73.8 |
심토4(BCt) |
105-180 |
6.2 |
4.9 |
1.6 |
22.2 |
4.1 |
11.4 |
0.2 |
0.5 |
72.6 |
화산회적특성
토층 |
토심 (cm) |
멜라닉 지수 |
인산보유능(%) |
산성 옥살레이트 침출성(%) |
||
Al |
Fe |
Si |
||||
표토(A) |
0-30 |
|
33.3 |
0.21 |
0.56 |
0.03 |
심토1(Bt1) |
30-63 |
|
65.1 |
0.42 |
0.92 |
0.10 |
심토2(Bt2) |
63-85 |
|
46.5 |
0.40 |
1.04 |
0.13 |
심토3(Bt3) |
85-105 |
|
40.1 |
0.18 |
0.34 |
0.07 |
심토4(BCt) |
105-180 |
|
39.2 |
0.16 |
0.32 |
0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