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-
우리가 비 온 뒤에 흔히 볼 수 있는 지렁이는 흙 속이나 늪·호수·지하수·동굴·해안
등에 널리 분포하며 전 세계에 약 2,700종, 한국에는 약 60종이 알려져 있다.
지렁이는 굉장히 원시적으로 보이지만 그 기다란 몸 안에 잘 발달된 신경계와 소화계·배설계·순환계·근육계
·생식기관을 가지고 있다. 지렁이의 몸은 여러 개의 가로 주름이 있는 것을 불 수 있다. 그것은 우리가
환절 또는 체절이라고 부르는 부분이다. 이 환절 또는 체절에는 외부 기관뿐 아니라 대부분의 내부
기관이 들어 있다. 보통 95∼200개의 체절로 나뉘는데, 이들 체절은 고등동물의 신체 조직과 마찬가지로
각각 다른 기능을 한다. 특이하게도 지렁이는 특별한 호흡기관이 없고 피부로 호흡을 한다.
첫 번째 마디인 머리는 입과 입 주머니로 되어있으며 입 주머니는 입을 보호하고 흙 속의
갈라진 틈을 헤집는 데 쓰인다. 각 체절마다 짧은 머리카락 모양의 센털이 나 있어 자신의 몸을 이동하는 데 쓰이며
늘어나거나 줄어든다. 또한 피부에서 분비하는 미끈미끈한 점액은 땅 위를 기거나 굴을 안정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준다.
눈이나 소리를 듣는 특별한 감각기관은 없지만, 감수세포나 수광세포(受光細胞) 등이 몸 표면 전체에 흩어져 있어 빛이나 압력 등의
자극에 민감하다. 또 냄새나 맛에도 민감하고 단맛이 있는 먹이를 가장 좋아한다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되었다.

- 지렁이는 땅 표면에 있는 낙엽이나 쓰레기를 먹어 분해하고, 이로써 땅속의 좋은 미생물들이
자랄 수 있도록 한다. 흙을 부지런히 파서 그 흙에 있는 먹이를 먹으면서 땅에 여러 구멍이나 터널을 만들어,
식물들이 숨쉴 수 있는 산소가 공급된다.
지렁이가 먹고 배설한 흙은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좋은 흙으로 된다.

- 지렁이는 유기물이 섞인 흙이나 찌꺼기, 또는 땅 위의 식물성 찌꺼기를 삼켜 먹고는 강한 근육 힘으로
여러 물질을 뒤섞은 뒤 소화기관으로 보낸다.
소화기관은 효소를 함유한 소화액을 분비하여 먹이와 함께 섞는데, 소화액은 먹이로부터 아미노산과 당분,
그 밖에 다른 유기물 분자를 뽑아낸다. 이 유기물 분자는 장내의 막에 흡수되어 에너지원이나 세포합성 물질로 쓰인다.
소화관은 몸 속을 곧바로 지나 입·인두·식도·모이주머니·모래주머니·장으로 이어진다. 모래주머니의 벽은 두꺼운
근육질이고 삼킨 모래알로 먹이를 갈고 부순다. 소화관의 대부분은 장이 차지하는데 장으로 옮겨진 음식물은
그곳에서 소화되고 배설하게 된다. 바로 이 배설되는 흙이 식물들이 잘 자랄 수 있는 좋은 흙이 된다.
- 지렁이의 소화기간
-
- 입
- 인두
- 식도
- 모아주머니
- 모래주머니
- 장

- 지렁이는 우리 흙 속에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존재이다. 이런 지렁이가 잘 살 수 있도록 땅에
비닐봉지나 쓰레기를 마구 버리거나 농약을 마구 사용해서는 안 된다. 이와 더불어 동물의 사체나 낙엽 등이 쌓여
분해되고 흙과 함께 화학적 작용을 일으키면서 우리가 농사를 짓거나 나무를 심을 수 있는 비옥한 흙으로 태어나는 것이다.